반응형 전체 글49 거북이 몸의 종류 저는 작은 거북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오늘은 거북이에 대해 알아볼까 하는데요. 거북이는 주로 물에 살고, 딱지가 있는 파충류입니다. 거북이는 갑옷으로 쓰이는 딱지 속에 머리와 다리, 그리고 꼬리까지 집어 넣을 수 있답니다. 거북이의 등딱지는 훌륭한 천연 방어 구조물이에요. 거북은 다른 파충류와 마찬가지로 변온동물입니다. 체온이 주위 공기나 물의 온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추운 날씨에 몸을 덥히거나 활동할 수 없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년 내내 추운 지방에서는 살 수가 없습니다. 거북이의 종류는 크게 땅에 사는 땅거북류 빼고는 대부분 민물이나 바닷물 속에서 일생을 보냅니다. 거북이는 크기도 매우 다양합니다. 느리다고 소문(?)났지만 헤엄치는 속도는 빨라요. 바다거북은 짧은 거리의 경우 시속 약 30km .. 2021. 8. 22. 반려동물 등록제는 꼭 해야할까? 저도 처음 강아지들을 데려올 때 반려동물 등록을 했는데요. 반려동물 등록제는 동물보호법 제12조(등록대상 동물 등록증)에 의거한 것이랍니다. 반려동물을 등록함으로써 관리를 하고, 유기동물들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길을 잃은 동물들을 집으로 귀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해요. 만 3개월 이상의 반려견들은 의무화이기 때문에 입양 후 30일 이내 등록해주시면 됩니다. 반려동물 등록제는 세 가지 방식이 있는데요. 1.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마이크로칩) 2. 외장형 무선식별장치 (목걸이형 칩) 3. 인식표(동물등록 고유번호만 부여받음) 이 중에서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1번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외에는 유실견 보호라던가 유기견을 방지하는데는 효과가 좀 떨어진다고 하네요;; 그래서 내장형 .. 2021. 8. 18. 개가 구토를 하는 이유 우리 개가 구토를 했다면 걱정이 되실텐데요. 어떻게 하지? 병원에 바로 가야 하나? 좀 지켜봐볼까? 고민하실겁니다. 구토가 지속되지 않고, 한 번 정도 한 거라면 조금 기다려 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그런데 하루에 2번에서 3번 정도를 한다면 병원에 가셔야 합니다. *개가 구토를 하는 이유 구토는 질병에 의해서일 수도 있고, 호르몬 적인 이유에 의한 것도 있습니다. 그런데 신체 구조상 개들은 토하기 쉬운 구조라고 하더라고요. 너무 많이 먹었거나 너무 굶었서 토를 할 수도 있다고 해요. 단순하게 너무 많이 먹어서 한 구토라면 시간이 지날수록 좋아지기도 하거든요. - 물리적 구토 만약 위 속에 어떤 것으로 인해 음식의 흐름이 막히면 구토를 하는데요. 개들이 호기심이 많다보니 아무거나 입에 넣고 삼키는 경우가 .. 2021. 8. 13. 반려견의 귀 청소는 어떻게 하나요? 개들은 사람 귀와는 달라서 면봉으로 슥슥 닦아내기 어렵습니다. 그러다보니 염증이 생기기 쉽죠. 그렇다고 해서 너무 자주 귀 청소를 시키면 귀 점막이 손상될 수 있다고 하니 올바른 관리법을 알아야겠지요? 우리 강아지의 귀를 건강하게 관리하는 법을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털이 긴 장모종의 경우에는 몸 털도 자라나지만 귓속에도 털이 계속 자라난답니다. 목욕을 자주 안 시키는 경우에는 큰 상관은 없지만, 목욕을 자주 시키면 귓 속으로 물이 들어갈 수 있거든요. 귓 속에 난 털과 구부러진 구조로 인해 물기가 잘 안 마르고 세균이 번식할 수 있어요. 만약 우리 개가 귓 속에 염증이 자주 생긴다 싶으면 귓 속 털을 먼저 제거한 후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귓 속 털 제거도 사실상 쉽지 않기 때문에 월에 1회 이상은.. 2021. 8. 10. 개 입양시 동물병원에서 받는 검사의 종류 동물병원은 강아지를 입양하기로 한 날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들이 동물병원을 가면 건강 상태에 대한 기본 진료를 받게 되는데요. 신체검사나 분변 검사 등을 진행하죠. 1. 신체검사 전체적인 부분을 관찰해요. 눈, 코, 귀, 치아, 발, 체형 등 몸 전반적인 부분을 관찰하죠. 그 다음 몸 전체를 만져보고요. 이상이 있는지 없는 지 청진이 진행됩니다. 심음이나 폐음 같은 것을 확인하는 작업이지요. 하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것만으로는 건강 상태가 좋다 나쁘다 단정지을 수 없는데요. 그러다보니 강아지의 상태에 따라 정밀한 검사를 진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2. 분변 검사 동물 병원 선생님들이 강아지 배변 상태에 대해 물어볼텐데요. 이유는 변의 상태에 따라 소화기 상태가 어떤지 알 수 있기 때문이지요. .. 2021. 8. 6. 개의 임신과 출산, 발정기 기간, 홈케어 방법 개를 키울 때 중성화 수술에 대해 고민을 하실 겁니다. 암컷 같은 경우, 나이가 들수록 유선이나 자군 쪽에 질병이 걸리기가 쉽다고 하거든요. 10살이 넘어가면 질병에 걸릴 확률이 70% 이상이라고 하네요. 중성화 수술을 시키는 것도 이런 질병들을 방지할 수 있어서 일텐데요. 아무래도 수술이다보니 장단점이 있겠죠? 장점은 방금 말씀드렸듯이 자궁이나 난소 쪽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수컷 같은 경우 마킹 행위가 줄어든다고 해요. 성적 스트레스도 덜 받게 되고요. 하지만 수술 후 살이 확 찔 수도 있고, 전신마취를 시켜야 하기 때문에 위험 부담감이 클 겁니다. 의사와 충분한 상담 후 수술을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암컷들은 1년에 한 두 번 정도 발정기가 찾아온다고 해요. 발정기 후반에 배란을 하게 되는데.. 2021. 8. 2. 이전 1 ··· 4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