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호초가 형성, 파괴되는 과정

카테고리 없음

by 정이사 2021. 12. 17. 20:59

본문

 

 

산호는 바다에 사는 작은 동물 수백만 마리가 모여 석회질 구조를 만들어내며 사는 것입니다. 산호 구조물은 마치 가지가 달린 나무 모양인데 모양은 불규칙합니다. 살아있는 산호를 이루는 동물들은 노란색, 주황색, 자주색, 초록색 등 아름다운 색깔을 만들어 내는데요. 이 동물들이 죽게 되면 석회질 골격만 남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산호초라고 부릅니다. 산호초는 바닷속에 산과 골짜기를 만듭니다. 산호초 사이에는 물고기와 말미잘 같은 색이 화려한 바닷속 동물들이 살지요.

 

산호는 바다 위로 솟아 산호섬을 이루기도 하는데 파도가 산호를 부수면서 산호섬이 만들어지는 것을 돕습니다. 바닷물이 산호 가지를 부수고, 부서진 조각들이 쌓아지는 형태라고 할까요. 석회물을 형상하는 조류 같은 게 산호 조각들 사이에서 서로 접합시켜 단단하게 만들죠. 이렇게 생긴 산호섬 위에 흙이 쌓이고, 식물이 자란 게 오늘날의 섬들이랍니다. 태평양의 많은 섬들은 이런 과정을 거쳐 탄생한 섬들입니다. 산호는 대부분 따뜻한 바다에 삽니다. 하지만 보석 산호류 같은 산호는 북쪽 바다에 살기도 합니다.

 

 

1. 산호의 형성

 

산호를 형성하는 작은 동물은 히드라와 해파리, 말미잘과 같은 무리에 속하는 동물입니다. 산호충이라고도 하고 이라고도 합니다. 폴립은 원통형으로 생겼습니다. 한쪽 끝은 입인데 작은 촉수로 둘러싸여 있고, 다른 쪽 끝은 바다 바닥의 단단한 것에 붙어 있습니다. 산호 한 개체의 지름은 2.5cm ~ 30cm 정도 된답니다. 산호 폴립은 대부분 군체를 이루며 살아갑니다. 산호 폴립은 바닷물 속의 칼슘을 흡수해서 자신의 석회질 골격을 만듭니다. 골격이 형성되면 석회석을 몸 아래쪽에 침전시키죠. 폴립은 여러 연체동물의 새끼나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데 새로운 폴립들이 자라면서 석회석 구조물은 점점 더 커집니다. 

 

산호는 폴립 조직 속에 사는 조류가 만든 먹이를 이용합니다. 조류는 산호충이 석회질 골격을 분비하는 화학물질을 만들어 내기때문에 조류가 없으면 산호는 살 수 없습니다. 조류가 광합성을 잘할 수 있도록 산호초는 빛이 충분히 들어오는 물에서 자랍니다.

 

산호충은 난자를 만들거나 출아를 하면서 번식하는데 작은 혹모양의 눈이 성체 폴립의 몸 위나 연결판 위에 나타나게 됩니다. 눈이 점점 자라면서 부모와 떨어진 후 군체 속에 자신의 석회질을 침전시키면서 크기를 키워나갑니다. 오래된 산호 군체에 성체 폴립의 알이 생기면 그 알을 통해 새로운 군체가 형성됩니다. 알은 자라서 헤엄을 칠 수 있는 아주 작은 생명체가 되거든요. 이 생명체가 바다의 바닥에 정착하면서 새로운 군체가 만들어집니다.

 

산호충은 여러 해양동물의 먹이입니다. 산호충이 먹히면서 줄어든 수는 새로운 산호 군체가 계속 성장하면서 균형을 유지하죠. 그런데 1960년대 초에는 불가사리가 급증하면서 태평양의 많은 산호초가 파괴된 적이 있었다고 해요. 불가사리가 급증한 이유를 알아내려고 과학자들이 연구를 해봤지만 그 원인은 찾아내지 못했다고 합니다. 

 

2. 산호초 

 

산호초는 열대지역의 따뜻하고 얕은 바다에서 대부분 발견됩니다. 산호는 18℃ 이하의 찬 물에서는 살 수 없기 때문이에요. 산호초는 남태평양 전역과 인도양, 마다가스카르 섬, 미국 플로리다주 연안, 버뮤다 제도 주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거초, 보초, 환초 3가지 형태가 있는데요. 거초는 물 속에 잠겨 있는 구조물로 살아 있는 산호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안에서 바다 쪽으로 뻗어 있는 형태지요. 보초는 해안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습니다. 해안과는 물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는데 해안 근처 바다와 바깥쪽 바다 사이에 길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흔히 남태평양의 화산섬을 둘러싸고 있는 산호초들이 보초라고 보시면 됩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대보초는 길이가 약 2,000km나 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산호초랍니다. 환초는 먼바다에 있는 고리 모양의 산호섬입니다. 환초는 바다 밑에 있는 화산 분화구 가장자리나 진흙질 둑 위에 산호가 쌓여 형성되는데요. 환초는 초호라고 하는 산호 호수를 만듭니다. 여기에는 하나 이상의 수로가 있어서 산호 호수와 바깥 바다를 연결하지요. 남태평양의 산호섬은 대부분 환초라고 합니다. 

 

3. 산호초의 파괴

 

산호초는 수백 년에 걸쳐 발달해 왔고 그 속에 수많은 동물들이 살기 때문에 아주 귀합니다. 그런데 이런 산호초가 파괴되고 있답니다. 건축 자재로 채굴되기도 하고, 부서진 산호조각들이 파묻히기도 하지요. 또한 바다로 배출되는 하수에 오염 되거나 식용이나 관상용 물고기를 잡으면서 산호초를 망가뜨리는 사람들에 의해서, 산호초 조각을 관광객들에게 기념품으로 팔면서 파괴되고 있다고 합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