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남자와 여자로 구분되듯이 동물들은 수컷과 암컷으로 구별됩니다. 동물에 따라 암컷과 수컷의 모습이 다른대요. 몇몇 동물은 겉모습으로 성별이 구별되기도 하고, 번식기 때만 구별되는 동물도 있고, 특별 부위로 암수 구별되는 동물도 있으며 암수 구분이 없는 동물도 있습니다.
암컷과 수컷이 다른 이유는 눈에 잘 띄기 위해서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 짝짓기를 하여 후손을 낳아야 하기 때문에 생존과 번식을 위해 진화했다고 볼 수 있지요. 동물은 암수의 생김새, 서식지에 따라 구애 방법 또한 다양합니다. 번식기가 다가올 때면 암컷의 눈에 잘 띄기 위해 수컷은 시각, 청각, 후각 등을 이용해 자신을 뽐냅니다. 암컷은 적극적으로 구애하는 수컷이 더 우수한 후손을 남길 수 있다고 생각한대요. 그러니 적극적인 녀석들이 암컷을 차지할 확률이 높아지지요. 하지만 그만큼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천적에게 들킬 위험도 높아지는 단점도 있답니다.
동물의 암수 구별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물 대부분 수컷의 몸집이 더 크고, 화려합니다. 공격적인 성향을 띠는 경우도 대부분이랍니다.
사자 - 수사자는 목둘레에 복슬복슬한 갈기가 있고, 암컷은 없습니다.
물개 - 암컷보다 수컷의 덩치가 약 10배 크답니다.
사슴 - 수사슴은 뿔이 있어 암사슴과 구별됩니다.
공작, 꿩, 닭 - 조류의 대부분 암컷의 깃털은 갈색이고, 수컷의 깃털이 화려합니다.
평소에는 암수 구별이 잘 되지 않다가 번식기가 되면 구분되는 동물도 있습니다. 어류가 대표적인데요.
피라미같은 경우 번식기가 되면 수컷 피라미의 배와 지느러미는 붉은색으로 바뀝니다. 화려해지기 때문에 다른 물고기 종류인가 착각할 정도라는데요. 하지만 번식기가 끝나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기 때문에 암수 구별이 어려워집니다.
겉모습이 워낙 비슷해서 특별한 부위로 암수를 구분하는 동물은 왕귀뚜라미와 말총벌, 꽃게, 개구리 등이 있습니다.
왕귀뚜라미와 말총벌은 암컷의 꼬리 부분에 알을 낳기 위한 산관관이 있습니다. 꽃게는 배판의 모양이 다릅니다. 수컷의 배판은 뾰족하게 생긴 반면 암컷의 배판은 둥글게 생겼답니다. 참개구리와 청개구리는 수컷에게만 울음주머니가 있어요. 울음소리를 통해 암컷이 수컷의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엄지발가락의 혹으로 암컷과 수컷을 구별하기도 합니다.
하나의 몸에 암컷과 수컷의 생식 기관을 모두 갖고 있어서 암수 구분이 따로 없는 동물도 있습니다. 지렁이, 달팽이, 플라나리아 같은 동물인데요.
암컷과 수컷의 짝짓기를 통해 번식하는 것을 유성색식이라고 합니다. 암수 구분이 없는 동물은 암수의 생식 기관을 모두 갖고 있어서 동일한 개체나 계통 사이에서 유성생식이 가능한 상태로 자웅동체 또는 암수한몸 이라고도 합니다.
짝짓기 없이도 번식하는 것을 무성생식이라고 하는데 플라나리아나 히드라 같은 무척추 동물이 무성생식 합니다.
댓글 영역